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주식] 주린이(주식초보)용 주식 용어 간단 정리

728x90
반응형

  게임불감증인지... 나이를 먹어가면서(30대 중반입니다) 게임에 관심이 점점 적어지는 것인지는 몰라도 요즘 게임에 대한 관심이 조금은 식어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마음먹은 김에, 게임에 쓸돈 조금씩 모아서 주식을 해보고자 마음을 먹었고, 주식에 관해 알려드린다기보다 같이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용도로 작성해보기로 했습니다. 

 

매수 : 주식을 사는 것

 

매도 : 주식을 파는 것

주식의 시작 매수와 매도

 

현금화 3일 : 주식을 샀다가 팔아도 바로 현금으로 찾을 수 없음 (판 시점에서 3일(주말, 공휴일 제외) 후)

 

예수금 : 주식을 사기 위해 주식계좌에 입금 한 금액

 

증거금제도 : 증거금 비율만큼 우선 돈을 지불하고, 나머지는 3일 뒤에 결제 하는 시스템

  - 증거금 비율이 40%라면 100만원짜리 주식을 살때 40만원에 사고 나머지 60만원은 3일 뒤 결제

 

미수금 : 증거금제도에서 3일 뒤에 입금할 나머지 금액

  - 미수금이 발생하면 입금을 하거나, 해당 주식을 팔아야 됨

  - 두가지다 안 할 경우, 증권사에서 자동으로 주식을 청산하고, 증거금을 일정기간 쓸 수 없는 상태가 됨

 

매입가액 : 주식을 구매한 가격 (수수료도 포함되어 표시 됨)

 

평가손익(손실과 이익) : 주식을 산가격(평균매입가액) 대비 손실과 이익을 표시

 

평가손익률 : 위의 금액을 비율(%)로 나타 낸 것

 

호가 & 호가창

  - 빨간색 칸은 주식을 살 때 얼마에 사겠다 라는 것 (단가 오른쪽 수량은 저 금액에 사겠다는 예약을 한 주식의 수량)

  - 파란색 칸은 주식을 팔 때 얼마에 팔겠다 라는 것 (단가 왼쪽 수량은 저 금액에 팔겠다는 예약을 한 주식의 수량)

  - 호가들을 나열한 것이 호가창

 

상한가 & 하한가 : 한국 주식은 하루 최대 [+- 30%] 한도로 제한 (미국은 제한 없이 무한대)

  - 30% 오르면 [상한가]

  - 30% 내리면 [하한가]

30%오른게 상한가 / 30% 내린게 하한가

 

테마주 : 관련 분야 주식들을 묶어서 ~테마라고 함 (정치 테마주, 코로나 테마주 등등)

  - 찌라시성 기사도 많으니 혹하지 말 것

 

변동성 - 주가가 변동 하는 것

  - 일반적으로 대형주, 대장주보다 소형주가 변동 폭이 심함

 

평균매입가액

  - 100만원에 1주, 200만원에 1주를 구매했다고 하면 평균매입가액은 150만원

 

공매도 : 주식이 없는데 파는 것

  - 주식이 없는 사람이 주식을 가진사람한테 미리 땡겨와서 팔고, 계약 날짜에 주식을 다시 사서 갚는 형식

  - 공매도의 경우는 본인이 지정한 주식이 내려가야 돈을 버는 구조

  - A주식이 현재 1주당 10만원인데 떨어질거 같다? -> 공매도를 해서 10만원에 주식들을 팔고 추후에 떨어지면 구매를 해서 갚는 형식으로 진행 (금액이 떨어진 만큼 차액분의 이득을 봄 but 증가하면 증가수치량 만큼 무한대의 손해를 보게 됨)

  - 게임스탑 사례가 공매도 연관 사건 

선물 & 해외선물 : 초보자는 몰라도 된다고 함 (진짜 모르기도 하고 관심도 안두려고요...)

 

EPS(주당 순이익)

  - EPS = 당기 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 당기 순이익이란 기업이 일정기간동안 얻은 모든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제하고 순수하게 남은 이익

 

PER(주가 순이익 비율)

  - PER = 현재 주가 / 주당 순이익

  - PER가 낮으면 : 원금 회수 기간이 짧아 [안정적인 주식] but 미래 성장가치가 낮은 주식

  - PER이 높으면 : 미래 성장가치가 높은 주식 but 원금 회수 기간이 길어 [위험한 주식]

 

BPS(주당 순자산)

  - BPS = 기업 현재 순자산 / 총 발행주식 수

  - 예를 들어 기업이 지금 당장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기업의 자산을 주주들에가 나눠 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PBR(주가 순자산 비율)

  - PBR = 현재 주식 가격 / 주당 순자산

  - 얼마나 튼튼하고 안정적인 기업인지를 판단하는 지표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x100

  - ROE가 높을 수록 좋은 거지만, 단발성인지 등도 고려해봐야 함

 

코스피(KOSPI) : 국내 종합주가지수

  - 웬만한 대기업 대부분이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음

  -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

  -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고, 투자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척도, 경제상황 예측지표등으로 이용됨

 

코스닥(KOSDAQ)

  - 벤처기업, 중소기업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음

  - 코스닥위원회가 운영하는 장외거래 주식시장

  - 미국의 나스닥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 시장

 

코스피는 실적으로 먹고 살고, 코스닥은 비젼으로 먹고 산다

 

코스피, 코스닥이 나눠져 있는 이유

  -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존 주식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작은 기업들을 위한 시장을 따로 만든 것

  - 이때 나스닥 시장을 벤치마킹해서 코스닥 시장을 세운 것)

 

나스닥(NASDAQ)

  - 거래소가 아닌 곳에서 운영되는 장외시장 중에서 가장 발전된 시장

  - IT등 첨단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인텔, 애플, 구글 등이 나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음

728x90
반응형